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무릎 통증을 비수술적으로 해결하는 방법: 체외충격파 치료의 모든 것

by 트릿 2025. 1. 23.
반응형

체외충격파 치료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ESWT)는 비침습적인 방식으로 특정 부위에 고강도의 음파를 전달해 조직 회복과 통증 완화를 돕는 치료법입니다. 주로 만성적인 근골격계 질환에 사용되며, 아래는 체외충격파를 적용할 때의 적절한 시점과 그 주요효과입니다.

1. 언제 체외충격파 치료를 해야 할까?

체외충격파는 아래와 같은 경우에 추천됩니다:

  1. 만성 통증:
    • 약물, 물리치료 등 보존적 치료에도 6개월 이상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 예: 만성 슬개건염, 아킬레스건염, 족저근막염.
  2. 염증성 질환:
    • 힘줄이나 인대 부위에 반복적인 스트레스와 염증이 발생한 경우.
    • 예: 석회화건염(특히 어깨), 테니스엘보우(상완골 외상과염).
  3. 조직 재생이 필요한 경우:
    • 손상된 조직의 치유가 더디게 진행될 때.
    • 예: 뼈의 지연 유합 또는 골비후(피로 골절 후 회복).
  4. 근육과 힘줄 긴장 완화:
    • 예: 근막 통증 증후군이나 근육 긴장이 심한 경우.
  5. 수술을 피하고 싶은 경우:
    • 수술 대신 비침습적 치료를 시도하고자 할 때.

2. 체외충격파 치료의 주요 효과

1) 통증 완화 (Pain Relief)

  • 음파가 손상 부위에 전달되면 신경 말단의 과민성이 억제되어 통증이 줄어듭니다.
  • 효과 기전: 통증 수용체의 민감도를 낮추고 국소적인 혈류를 증가시켜 염증 물질의 배출을 돕습니다.

2) 조직 재생 촉진 (Tissue Regeneration)

  • 충격파는 세포를 자극해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를 활성화합니다.
  • 결과: 손상된 힘줄, 인대, 근육, 또는 뼈의 치유를 가속화.

3) 혈류 증가 (Improved Circulation)

  • 충격파의 기계적 자극으로 모세혈관이 새로 형성됩니다(혈관 신생).
  • 결과: 손상 부위로의 산소와 영양 공급 증가.

4) 석회화 병변 제거 (Calcification Dissolution)

  • 석회화건염 환자에서 충격파가 석회 침착물을 분해하고 흡수 과정을 촉진.
  • 결과: 관절의 기능 회복과 통증 감소.

5) 근육과 힘줄 긴장 완화 (Relaxation of Muscle Tension)

  • 충격파가 근막과 긴장된 근육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어 만성 근막 통증 증후군에 효과적.

3. 치료 과정 및 주의사항

  • 치료 횟수:
    • 환자의 상태에 따라 치료 빈도와 강도 조정.
  • 부작용:
    • 일시적인 통증, 멍, 피부 발적 등이 나타날 수 있으나 대부분 경미합니다.
    • 골다공증 환자나 출혈 장애 환자, 심한 감염 상태에서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 치료 후 주의사항:
    • 무리한 운동은 피하고 충분한 휴식과 스트레칭을 병행.
    • 통증이 줄었다고 바로 격한 활동을 하면 재발 가능성이 있습니다.

4. 체외충격파의 한계

  • 급성 염증(통증이 발생한 지 2주 이내)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비만 환자나 깊이 위치한 병변에는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 모든 환자에게 동일한 효과를 보장하지 않으므로 치료 전 정확한 진단 필수입니다.

5. 체외충격파 비용과 보험여부

체외충격파 치료(ESWT)의 비용은 의료기관의 종류와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2019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1회 치료 비용은 최저 50,000원에서 최고 300,000원까지 다양합니다.

 

체외충격파 치료는 일반적으로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항목입니다. 

 

따라서, 체외충격파 치료를 고려하신다면 치료 비용과 보험 적용 여부를 사전에 의료기관과 보험사에 확인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